▒ 아! 붓다 ▒

불교의 신행체계

松 河 2020. 8. 24. 10:41

월요일!

커피를 내립니다.

조그만 나만의 공간에 온통 커피향이 진동하여 소확행을 느낍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을 묻는 신문 기사를 보았습니다.

 

1등으로 뽑힌 내용은 비행기도 고속 전철도 아닌........

사랑하는 이와 함께 가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당신은, 함께 가는 사람들과 빨리 간다고 느끼는 사이입니까?

 

시기와 질투. 음해로 자기 수준만큼 끌어 내리려 하지는 않는지 돌아보시기 바라며 생의 여로에 가장 빨리 가는 사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서로......

.

.

여섯 번째 시간 문을 엽니다.

 

5. 불교의 신행 체계

 

불교의 신행체계는 신해행증(信解行證)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올바른 믿음()을 갖는 것.

- 자신의 믿음에 대해 올바로 이해(理解)하는 것.

- 믿고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실천()하는 것.

- 이해와 실천의 풍부한 체험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는 것.

 

불자로의 입문은 부처님을 믿는 것에서부터 비롯됩니다.
부처님의 말씀이 무엇이고 절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에 대한 이해는 그 다음입니다.
믿음이 미신이나 맹신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 올바른 신심으로 자리잡기 위해 부처님에 대한 믿음을 발현 해 보십시요.

불교의 신앙체계는 어느 한 곳으로 치우침이 없는 중도적(中道的)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신행의 첫걸음 삼귀의(三歸依)

 

거룩한 부처님님께 귀의 (귀의불 양족존 歸依佛 兩足尊)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 (귀의법 이욕존 歸依法 離欲尊)

거룩한 승가에 귀의 (귀의승 중중존 歸依僧 衆中尊)

 

. 삼보(三寶)

, , (, , )을 말합니다.

불교가 있는 곳에서는 반드시 삼보가 존재하고, 삼보에 귀의하는 것은 불교신자들의 의무 같은 것입니다. 삼보는 대승(大乘).소승(小乘)을 불문하고 귀의삼보(歸依三寶)가 가장 중시됩니다.

 

불보(佛寶)

- 법신불(法身佛) : 진리 그 자체를 부처님으로 보는 것 예) 청정법신비로자나불

- 보신불(報身佛) : 수행의 결과로 완성되어진 부처님 예) 아미타불 / 노사나불

- 화신불(化身佛) :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한 부처님 예) 석가모니불

 

법보(法寶)

- () : 부처님의 말씀

- () : 제자와 재가 불자가 지켜야 할 계율

- () :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해 놓은 논서

 

승보(僧寶)

사부대중(四部大衆)과 칠중(七衆)

- 비구 (比丘) : 250계를 받으며 걸사 (乞士)라 합니다.

- 비구니 (比丘尼) : 348계를 받으며 걸사녀(乞士女)라 합니다.

- 식차마니 (式叉摩尼) : 구족계를 받기 전, 비구니가 되기 전의 여승.(한국 X)

- 사미 (沙彌) : 10계를 받은 나이 어린 남자스님.

- 사미니 (사미니) : 10계를 받은 나이 어린 여자스님.

- 우바새 (優婆塞) : 청신사라 하고 가정을 가지고 있는 남자신도. (거사)

- 우바이 (優婆夷) : 청신여라 하고 가정을 가지고 있는 여자신도. (보살)

 

역시 불교는 어렵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많은 것을 다 익히고 불교를 접하는 것이 아니라 절간에 드나들다 보면 몸에 익는 이 되는 것이니 마음을 맑게 다스려 보겠다는 이유를 달아 불자가 되십시오.

 

체계적 불교 학습을 희망하실 경우

대구에는 팔공총림 동화사 부설 대구불교대학이 있습니다.^^

 

'▒ 아! 붓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寺) 건물의 명칭(建物名稱)  (0) 2020.08.27
사찰 예절  (0) 2020.08.25
불교의 기본교리  (0) 2020.08.20
불교의 궁극적 목적과 기본교리  (0) 2020.08.18
불교의 2대 형태  (0) 202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