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부동산) 여유자금으로 장기투자를
여유자금으로 장기투자를 부동산 투자를 통해 많은 이익을 보았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손해를 보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사두기만 하면 결국 오른다고 하는 부동산 투자에 왜 이런 상반된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일까? 일반인으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그러나 이런 엇갈림은 다반사라 부동산업에 몸담고 있는 필자로서는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익을 보았다는 사람들은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으로 투자한 사람들이고, 정책의 변화에도 조급하게 서두르지 않는 사람들이었다.
반면 손해를 보았다는 사람은 자기자본 비율이 약한 상태에서 부하뇌동하여 부동산 투자에 뛰어든 사람들이라 해도 무방하다. 부동산은 이익을 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그러면 손해를 보지 않고 어떻게 부동산 유통 시장에 접근해야 할까?
첫째, 부동산은 여러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깨우쳐야 한다.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현금 유동성(필요할 때 즉시 팔아 돈으로 바꿀 수 있는 환금성)이 어렵다는 것은 알려진 상식으로 치더라도, 경기 순환에 따라 부동산 가격은 시시때때로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매도·매수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부동산 투자는 여유자금으로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 매도·매수의 적기를 선택할 수 있다.
둘째, 부동산은 정부 정책에 의해 가격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과거의 부동산 경기순환이 어떠했는지 공부하여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이켜 보면 부동산 정책은 경기와 맞물려 일정한 주기를 그리고 있다.
부동산 경기과열 현상이 나타나면 묶었다가, 경기가 침체되고 내수시장이 얼어 붙으면 풀어주는 반복된 행태를 보인다. 이런 흐름을 무시하고 투자하여 손해를 보았다는 사람은 정부정책에 민감하게 반응, 내릴 때 팔고 오를 때 사는 우를 범하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셋째, 투자자 저마다의 성향에도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본다. 어떤 정책 변화가 일어나면 차분히 기다리지 못하고 빨리 팔지 못해 법석을 피우는 사람도 있다. 단기적인 투자를 하여 일확천금을 노린 탓이다. 코끼리 코에 비스킷 만큼 내린 가격을 두고 무슨 큰 일이나 난 것처럼 온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매물을 풀어 놓는다.
조급함이 손해를 잉태한다는 점을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시장 접근법이 있을 수 있으나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 것은 부동산 투자의 기초이기도 하다. 성급한 매매를 제어할 수 있는 진짜 전문가의 조언은 그래서 중요하다. 김영욱((주)부동산써브 상임위원)
'▒ 나의 칼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와 내 집 마련 (0) | 2005.12.28 |
---|---|
직거래시 주의사항 (0) | 2005.11.26 |
중개업 시장, 변해야 산다 (0) | 2005.11.26 |
이익있는 곳에 세금있다 (0) | 2005.11.26 |
부동산 투기와 투자 (0) | 2005.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