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한 부동산 정책 속 투자법
[실전부동산] 불투명한 부동산 정책 속 투자법
"부동산과의 전쟁을 통해서라도 반드시 투기만은 잡겠다." 정부의 고강도 투기 정책 때문에 연말까지 집값 하락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에서는 2007년부터는 주택거래시 실거래가 신고를 의무화하여 양도소득세의 실거래가 징수를 현실화할 방침이다.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를 최고 집값의 1%까지 높여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것이 고통스럽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제는 주택을 가지고 재테크를 하는 시대가 아니다. 그러니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경고를 계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오름세를 유지하던 부동산 가격이 드디어 하향세로 돌아섰고, 양도소득세에 대한 부담과 보유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부동산 투자자들이 주택 매물을 내놓고 있으니 이제 시장의 상황은 그 변화의 조짐을 나타내고 있는 시기인 것이다.
그러면 이런 변화의 시기에는 어떻게 해야 재테크에 성공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은 절세 방법의 터득과 시의 적절한 대응에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먼저 다주택 보유자는 보유과세와 양도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투기 지역에 소재한 주택, 비거주 주택, 가격 오름 폭이 적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주택은 금년 내에 파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즉, 주거 여건이 좋고, 장래 여건도 좋으며 양도차익이 클 것이라고 생각되는 주택은 본인이 거주하며 비과세 요건을 갖추도록 한 다음에 매도하고, 집값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의 주택은 장기 보유하는 것보다는 절세 시점을 찾아 매각 후 다른 기회비용을 노리는 것이 현명한 재테크가 아니겠느냐 보는 것이다
. 현재 무주택자라면 주택 구입의 적정 시기가 지금이라고 보아도 좋지 않을까. 부동산 가격은 지금처럼 정부의 의지에 따라 잠시 주춤거리며 소강 상태를 보인 적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언제나 올라가고 있고, 돈을 모아 내집 마련을 한다는 것은 항상 실패와 좌절을 맛보게 하지 않았던가.
따라서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주택가격이 하락한다고 하여 언제까지나 하락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 보고, 정부의 의지가 워낙 강해 가수요가 사라져 버린 이러한 시기에 단지의 규모, 조망, 브랜드, 개발 호재 등을 충분히 고려한 다음, 생애최초 주택마련대출과 같은 상품의 도움을 받아 내집 마련을 서두르는 게 좋을 듯 싶다